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단지. <br /> <br />전용면적 84㎡ 전셋값이 지난해 초 8억 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지난달 12억5천만 원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최고가 대비 80%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끝 모를 상승곡선을 그리더니 역대 최고가의 84% 선까지 올라왔습니다. <br /> <br />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리의 정책 자금이 풀린 데다가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대신 아파트 전세 수요는 계속 늘고 있고, 신규 입주 물량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최근 치솟는 전셋값에 기존 전셋집에 눌러앉는 갱신 계약이 늘면서 시장에 나오는 매물은 더욱 줄어드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1년 전보다 25% 줄어 현재 3만 건을 밑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하반기에 임대차 2법 4년 만기도 다가옵니다. <br /> <br />2년 전세 계약을 2년 더 연장하고, 임대료 5% 인상 상한을 의무화한 이 법은 7월 말에 시행 4년째를 맞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처럼 전세가 귀한 상황에서 만기를 앞두고 집주인들이 전셋값을 최대한 올려 받으려는 움직임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양지영 / R&C 연구소장 : 임차인들은 재계약을 하고 싶은 상황이고 그렇게 되면 물량이 더 감소할 수밖에 없는 반면 집주인들 입장에서는 전셋값도 오르는 상황인 데다가 그동안 올리지 못했던 전셋값도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에….] <br /> <br />1~2년 동안 전셋값이 떨어질 뚜렷한 요인이 없어 보이는 가운데 세입자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유정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김희정 <br />디자인ㅣ김효진 <br />자막뉴스ㅣ서미량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51310011383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